목록Computer/공부 (16)
Today I Learned …
* 개인적인 공부 내용을 기록한 글입니다. 프로토콜 (Protocol) 1. 프로토콜이란? [1]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 [2] 어떤 액션/이벤트/서비스 상황을 수행하기 위해 여러 과정 원칙을 정의한 것 1-1. 프로토콜의 필요성 네트워크에는 다양한 규격의 디바이스가 존재하며, 개체 간 주고 받는 데이터 또한 다양하다. 이렇게 서로 다른 환경의 컴퓨터끼리 통신하려면 어떻게 작업해야 할까? ⇒ 각 케이스 별로 데이터를 전달/연결할 방식을 미리 정의해두고 이를 따르도록 강제하면 된다. ⇒ 즉, 프로토콜을 따른다는 것의 의미는 = 컴퓨터가 미리 선언된 원칙대로 작동하게 한다는 것이다. 1-2. 프로토콜 이해 걷기 위해서는 걷는 프로토콜을, 뛰기 위해서는 뛰는..

* 개인적인 공부 내용을 기록한 글입니다. * 「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」을 참고합니다. OSI 7계층과 TCP/IP 4계층 0. OSI 7계층과 TCP/IP 4계층 복잡한 네트워크를 단계별로 나누어 이해하기 쉽도록 도와주는 일종의 표준 규약이다. 네트워크의 연결은 각기 다른 역할을 담당하는 기능 및 장비들에 의해 어떠한 절차와 복잡한 규약을 바탕으로 한 논리 구조 위에서 이루어진다. 이 기능과 절차를 1983년도에 표준화하여 정리한 것이 OSI 7계층이다. 한편, 현대 네크워크는 대부분 IP를 기반으로 한 TCP 통신으로 이루어져 있다. 이에 TCP/IP 통신 방식이 통신 표준으로 채택되면서,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라고도 불리는 TCP/IP 4계층이 만들어졌다. 0-1. 계층을 나누는 이유 ..
* 개인적인 공부 내용을 기록한 글입니다. Git 기초 0. Git 영역 정리 [1] Working Directory (Local) ↓ Add ↓ [2] Index (= Staging Area) ↓ Commit ↓ [3] Repository ↓ Push ↓ [4] Remote Repository 1. Git Upload 순서 [1] Init : 저장소 생성 [2] Add : 파일을 인덱스에 올리기 (= Staging Area) [3] Commit : 로컬 저장소에 올리기 [4] Push : 원격 저장소에 올리기 1-1. Git Init [1] 로컬 저장소로 사용할 폴더로 이동 ⇒ $ cd '로컬 저장소로 사용할 폴더의 경로' [2] 새로운 저장소 생성 ⇒ $ git init 1-2. Git Add [1]..
* 개인적인 공부 내용을 기록한 글입니다. 해싱 (Hashing) 1. 해싱의 쓰임새 유저의 PW는 해싱하여 DB에 저장한다. [1] 암호화 하지 않으면 DB가 해킹 당했을 경우, 유저의 PW가 그대로 노출된다. [2] 외부 해킹이 아니더라도, 내부 개발자나 인력의 유저들의 PW를 볼 수 있게 된다. [3] PW 암호에는 일반적으로 단방향 해시 함수가 쓰인다. 2. 해싱 (Hashing) vs 암호화 (Encryption) 일상에서는 어느 정도 통용되지만, 암호학적으로는 차이가 있다. 가장 큰 차이는 '방향성' 이다. [1] 해싱 : 단방향. 복호화가 불가능하다. [2] 암호화 : 양방향. 역으로 복호화가 가능하다. 3. 단방향 해시 함수 (One-Way Hash Function) 어떤 수학적 연산 (또..